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기록 저장소

REST API 본문

Note/개념정리

REST API

resault 2019. 8. 20. 18:35

1. 정의

HTTP 통신에서 자원에 대한 CRUD요청을 리소스와 메소드를 이용한 표현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2. REST API의 구성요소

- resource : URI를 통해 정의되는 접근할 대상을 말한다. 넓은 분류에서 좁은 분류로 계층적으로 표현하며, 구분자는 /를 사용한다.

- method : 리소스에 대한 행위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Get, Post, Put, Delete를 통해 자원의 CRUD를 정의한다.

- representation of resource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주고받는 데이터의 형태로서 Jason, XML, Text 등이 있다.

3. REST API의 특징

- Client-Server :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여 서로간의 의존성을 낮춘다.

- Uniform Interface : 특정 언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요청에 대한 처리 작업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한다.

- Stateless : 세션이나 쿠키 등의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지 않아 각 요청이 별개로 처리되어야 한다.

- Self-descriptiveness : REST API 메시지만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 구조로 되어있다.

- Cacheable : 기존의 웹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HTTP의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 Layered System : 서버를 다중 계층으로 구성할 수 있기에 구조상의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 참고 ]

 

 

* CRUD :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인 Create, Read, Update, Delete를 일컫는 용어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CRUD

 

CRUD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야 할 기능(정보의 참조/검색/갱신)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도 사용된다. CRUD 대신에 다음과 같은 유사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ABCD: add(추가), browse(보기), change(변경), delete(삭제) A

ko.wikipedia.org

 

* Reference

http://www.chidoo.me/index.php/2016/06/03/what-is-restful/

 

도대체 뭐가 RESTful 이라는건가?

요즘에 웹에서 API 기능을 개발한다고 하면 RESTful 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된다. 특히 “Single Page WebApp(웹앱)”이 웹 기능을 개발하는 주류 방법이 되면서 더욱 자주 귀에 들린다.  여기에서 그럼 웹앱이라는 것이 뭔지 우선 짚어보고 가보자.  이걸 알아야지 왜 API가 필요한 것이며 그 중에서도 REST…

www.chidoo.me

https://mangkyu.tistory.com/46

 

[Restful API] Rest API란?

최근에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Google Drive API, Google App Script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은 이러한 것들을 사용하기 위해 요청을 보내는 방식인 Rest A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est API란? R..

mangkyu.tistory.com

http://tech.devgear.co.kr/delphi_news/433404

 

개발자 기술자료 - [REST API] REST API 이해하기

이 글에서는 REST 아키텍처를 소개합니다. REST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인터넷 상의 컴퓨터 시스템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REST는 HTTP 기반으로 필요한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을 정해놓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여기서 자원이란, 저장된 데이터(DBMS 등)는 물론, 이미지/동영상/문서(PDF 등)와 같은 파일, 서비스(이메일 전송, 푸쉬 메시지 ...

tech.devgear.co.kr

https://private.tistory.com/28

 

REST API의 탄생/구성/특징 등

REST API의 탄생 -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용어의 약자로써 2000년도에 로이 필딩(Roy Fielding)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습니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사람으로..

private.tistory.com

 

'Note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0) 2019.08.20
디자인 패턴  (0) 2019.08.19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0) 2019.08.19
자바(Java)의 메모리 구조  (0) 2019.08.19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0) 2019.08.19